LC 승인 2013년 3만 5200명, 2014년 6만 2600명
한국인 노동허가서 승인 1406명에서 2672명으로 2배
**노동허가서 접수,승인 현황
구분 | 2013년 | 2014년 |
접수 | 72,462 | 74,936 |
승인 | 35,188 | 62,633 |
기각 | 4,326 | 4,349 |
철회 | 3,077 | 4,016 |
**노동허가서 승인 5대 국가
국가 | 2013년 | 2014년 |
1.인도 | 20,925(59%) | 35,092(56%) |
2.중국 | 2,135(6%) | 4,577(7%) |
3.캐나다 | 1,563(4%) | 3,054(5%) |
4.한국 | 1,406(4%) | 2,672(4%) |
5.필리핀 | 928(3%) | 1,502(2%) |
미국 취업이민의 첫관문인 노동허가서를 승인받은 전체와 한국인 이민신청자들이 모두 2배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허가서를 인증받은 전체 승인자는 3만 5000명에서 6만 2600명으로, 한인들은 1400명에서 2700명으로 2배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취업이민에서 첫 관문을 통과한 이민신청자들이 2014년에 2배나 급증해 이민사회에 희소식을 안겨주고 있다.
취업이민 2순위와 3순위 신청자들이 첫관문으로 반드시 통과해야하는 연방노동부의 노동허가서 (Labor Certification)를 승인받은 외국인 고급 인력들이 배가된 것으로 노동부가 발표했다.
노동허가서 신청자들은 비슷한 규모였으나 승인(Certify) 받은 취업이민 신청자들이 2배로 급증 한 것이다.
취업이민 2~3순위 신청자들이 접수한 노동허가서 신청서는 2014년 한해 7만 5000여건으로 2013년 7만 2500여건 보다 소폭 늘어났다.
반면 노동허가서를 승인받은 취업이민 2~3위 신청자들은 2013년 3만 5200명에서 2014년에는 무려 6만 2600명으로 근 2배나 급증했다.
기각된 사람들은 한해 4300여명으로 거의 비슷했다.
자진 철회자들은 2013년 3000명에서 2014년 4000명 수준으로 늘어났다.
노동허가서를 승인받은 취업이민 신청자들이 2배 급증한데 맞춰 한국인 승인자들도 거의 2배로 대폭 증가했다.
노동허가서를 승인받은 한인들은 2014년 한해 2672명으로 전체에서 4%를 차지하며 국가별로는 4위를 기록했다
이는 2013년 1406명에 비해 거의 2배나 급증한 것이다.
다만 전체와 다른 국가 출신자들도 비슷하게 대폭 증가했기 때문에 한국인 승인자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4%, 국가별 순위에선 4위로 전년과 변함 없었다.
이는 미국 취업이민을 신청하는 한인을 포함한 외국인 근로자들이 계속 몰려들고 있으며 미국 정부당국의 신속 처리와 다량 승인 여부에 따라 첫관문 통과자들이 급증할수도 있고 주춤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올해 노동허가서를 승인받은 취업이민 신청자들은 인도출신들이 3만 5100명으로 전체에서 과반 을 넘긴 56%를 차지하며 단연 1위를 고수했다.
이어 중국이 4600여명으로 전체의 7%를 차지하며 2위를 기록했다.
캐나다가 3050여명, 5%로 3위에 올랐다.
한국이 4위이고 필리핀이 1500명, 2%로 5위로 올라섰다.
직업별로 보면 컴퓨터 업종이 57%로 가장 많았고 건축과 공학이 12%, 매니지먼트 8%, 재정 6%, 교육과 훈련 등이 5%의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별로는 캘리포니아가 24%로 가장 많이 몰려 있고 텍사스가 10%, 뉴욕 8%, 뉴저지와 워싱턴주가 각 7%씩으로 집계됐다.
노동허가서를 승인받은 취업이민신청자들의 무려 83%는 H-1B 전문직 취업비자를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1 주재원비자 5%, F-1 학생비자 소지자들이 3%의 분포를 보였다.

즐기 줄 알면 지옥같이 뜨거운 용광로도 난로처럼 따듯해지는 날이 있다. |공수월의 야단법석
이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언어는 어떤 것일까?
독일어, 영어, 중국어, 히브리어 등등 많은 주장이 있겠지만
내 관점인데... 이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언어는
현재 내가 필요해서 배우는 언어이다.
그것이 영어라면 영어만큼 힘든 언어가 없을 것이다.
이사중에 제일 어려운 이사가 바로 이민으로 딴 나라로
가는 것이다. 그것이 미국이든 멕시코이든 말이다.
이렇게 어려운 이사가 이민이다. 이민의 역사는 수만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옛날과 비교해 갈 수록 이민이 힘든 이유는
나라마다 가지고 있는 이민법이 있어서 아무나 올 수 없는 것도
이유지만 또 하나의 문제는 정신적인 안이가 아닐까 생각한다.
우리 한국 사람들의 건강 상태 특히 단백질 부족으로 성장부족인
현상은 1970 년도가 지나면서 완전 해결 되었다고 본다.
이제 굶어서 영양실조로 고생하는 아이들은 거진 없다고 보는게
맞고 육체적 건강상태도 이민와 미국 노동번에 의거한 어떤 노동이라도
할 수 있는 몸 상태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그런 육체를 가진 많은 사람들이
"힘들다" 란 관점을 넘어 1 년 노동으로 "허리 나간다" 란 걱정에 쌓여 있는 것 같다.
단 40 년의 안락함은 무한한 건강을 주었지만 한없이 쳐진 정신력을 준 것 같다.
군에 간 사람들의 첫 1 달 또 자대 배치받고 첫 6개월간의 기억을
가끔 생각해보는 사람이 있는 지 모르지만 내 기억으론 "지옥"이나
다름 없었던 것 같다. 미국의 첫 직장에서 경험한 한 달간의 기억도
또 6개월 지나고 웨이터를 할때도 다르지 않었다. 하지만 내게는
둘 다 같은 점이 있다. 힘들었지만 기권하지 않(못)고 버텨 끝
내는 잘 자리를 잡은 것이다. 그렇다. 이민의 시작은 어쩌면
지옥같을 수 있다. 하지만 꾹 참고 견디며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다.
솔직히 내가 이민을 찬성하는 이유는 전에도 말했지만 이곳에서
오래 산 사람으로 또 오래 살 사람으로 이민와서 많은 좋은 경험을 했기
때문이고 나아가 새로오는 사람들도 충분히 나처럼 "성공했다" 라고
자부할 수 있는 여건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옛날 내가 처음와서 시작할 때보다는
어려운 상황인 것 인정하지만 나이 45 살이면 명퇴해야 하는 현 조국의
싯점 보다는 훨 난 상황이라 생각한다. 나아가 아이들에게 입시지옥인
경쟁도구에서 벗어나 자신의 행복을 "결과"에서 찾는 것이 아니고 "과정"에서
찾을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첫 걸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개인적인 욕심으로 더 많은 한국 사람이 이민와서 언제고
한국인의 피가 섞인 사람이 미국의 대통령이 되는 걸 보고 싶기
때문이다. 이게 내 바람이다.
그래 닭공장의 첫 달, 얼마나 심장터질 듯한 힘든 상황인 지 짐작이 간다.
하지만 꼭 이민을 생각한다며 그래서 "비숙련 닭공장"을 선택 했다면
그 분들에게 하고싶은 말 하나는....
이미 이민 왔다면 그게 E-2이든 비숙련이든 숙력이든 "절대 기권하지 마라"이다.
난 장담한다. 처음에는 지옥 같겠지만 그 뜨겁던 지옥의 용광로도
결국은 따듯한 난로처럼 고마운 경험이 될 것이라고 말이다.
난 자신있게 말해줄 수 있다. 하고 못하는 것 결국은 각자의
"정신력의 문제지 육체적인 문제가 아니다"란 걸 말이다.
성공이란 결과에 연연하는 게 아니고 과정을 즐기는 것이란 내 말이 어폐가
있겠지만 그 말을 강조하는 이유는 이렇다.
나는 "과정을 즐기는 것이 바로 성공의 열쇠"라는 걸 경험한 사람이기 때문임을
이해들 하시면 좋겠다.
다시말해 과정을 즐길 줄 아는 사람들이 매번 불평불만인 사람들 보다 훨
성공의 자리에 도착하기 쉽기 때문이다. 내가 이곳에서 글을 쓰는 이유는
그저 나의 작은 경험을 이제 이민을 준비하는 또 막 시작한 사람들에
나누고 싶은 마음이기 때문이다.
성공한 우리 이민자가 많으면 많을 수록 내 소원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기에 부탁드리는 것만 이 아니고 성공한 사람을 보며 내가 기뻐지기
때문이다. 그런 기쁨은 꼭 돈이 들어와야 기뻐하는 사람은 이해가 가지
않(못)을 것이지만... 그들에게도 봉사와 노동이 똑같이 즐거운 일임을
알게되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좋게 읽어주셔 고맙습니다^^
어디서나 마음가짐이 건강할수록 그 가치가 있다고 여겨집니다. 조국이든 타국이든..^^
다른거 다 떠나서 내가 선택한길 후회없이 열심히 살아봐아죠. 사람의 마음가짐으로 인생이달라질수 있다생각하는 한 사람으로써 공수월님의 글은 항상 힘이되고 도전이됩니다^^감사해요!
알던것도 까먹고 버벅거리는 나이에 외국어를 배우려니 배움엔 때가 있단 말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지요
그래도 하루하루 다니다 보면 언젠간 터질꺼란 믿음으로 열심히다닌답니다.
고등학교에서도 거의 무료다시피 가르치고 도서관에서도 무료로 배울 수 있네요.
외국인이 정착할 수 있도록 배려해주는 이 나라가 고맙기 까지 하네요 ^^
* 댓글달기 ← 바로가기